본문 바로가기

개발 안하는 공대생/SW 기획  ٩(*•̀ᴗ•́*)و

요구 사항_수집?분석?정의?명세? 우선 펼쳐보자

728x90

 

소프트웨어 공학의 입구에 서서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이 요구사항이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한다.

"고객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실제 모르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 있는 것을 표현을 못한다는 말이다.

이것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구사항 정의이다.

 

 

 

웹 에이전시나 SI 프로젝트를 경험하신 분들은 친근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하우스나 자체 솔루션을 오래부터 가져온 회사 직원은 필요성을 못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구사항의 중요성은 구글에서 검색하면 나무에 그네를 만드는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서론을 시작으로, 요구사항 수집 > 분석 > 정의 > 관리 4단계를 확인한다.

 

(원문 보기)

 

[SW Requirements] 요구사항 수집, 분석, 정의 기본편

소프트웨어 공학의 입구에 서서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이 요구사항이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한다. "고객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실제 모르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 있는 것

odaily.tistory.com

 


 

서론, 요구사항 접하기

요구사항 문서에 대해 처음 접하다.

 

필자가 요구사항을 처음 접한 것은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했던 직장 선배를 통해서였다.

한 분은 야후 코리아에서 디자이너로 일하셨던 분이고,
다른 한 분은 실리콘밸리에서 안드로이드를 개발했고, 아키텍트를 하고 계신다.

 

FRD (Functional Requirements Document)

FRD란 용어를 처음 접하고 문서를 보게 되었다.

문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표지 : 제목과 제품, 버전, 작성자를 포함한다.

문서승인 : 리뷰자, 의사결정권자의 서명과 날짜를 입력할 수 있다.

문서이력 : 버전, 날짜, 작성자, 내용 흔히 작성하는 이력과 동일하다.

 

1. 개요 (Overview) : 문서의 목적과 범위 등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1.1. 용어 정의 :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 "관리자" 등 대체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2. 상위 기능 요구사항 (High Level Functional Requirements) : 기능과 비기능으로 분리하여 개발 컴포넌트나 파트 단위의 큰 기능을 명시한다.

   2.1. 기능 요구 사항 : ID, 이름, 컴포넌트(파트), 중요도, 정의

   2.2. 비 기능 요구사항 : ID, 이름, 컴포넌트(파트, 품질요소), 중요도, 정의

3. 요구 사항 상세 : 상위 기능 요구사항을 상속받아 세부적인 항목들이 정의된다. ID, 복잡도, 상세 정의(시나리오 or 세부 명세)

 

처음 접했던 FRD 문서


 

FRD 흉내내기 시작

개발자가 만든 문서여서 그런가... 크게 와 닿는 부분은 없었지만 비 개발자 입장에서 흉내를 내기 시작했다.

 

처음 도입은 소속된 프로젝트에서 HW 장치 일부에 적용했다.

기능 단위로, 상위 요구사항과 상세 요구사항만을 작성하였다.

 

워드로 작성하니... 있어빌리티는 좋지만, 편집, 작성에 너무 공수가 들어간다.

요구 사항 ID :  파트 앞글자 + 상위 요구사항 ID + 시퀀스

복잡도 : 비 개발자로서 입력을 할 수가 없었다.

상세 정의 : 사용자 입장에서의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을 했다.

 

최초 작성한 FRD 문서 일부


두 번째 FRD 문서

두 번째 도입은 SNS 서비스 프로젝트에서 도입을 해봤다.

참고로, UI설계서만 보고 개발해오던 개발자들은 요구사항 문서를 극혐 한다. 

(그만큼 성숙도가 낮은 개발자들이 많이 있다.)

 

작성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스프레드시트로 템플릿을 변경했다.

달리진 포인트가 존재한다.

운영 중인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버전이라는 항목을 추가하여 히스토리 추적을 할 수 있도록 해보았다.

복잡도를 없애고 중요도를 추가하여 개발 우선순위를 정하는 지표로 삼을 수 있도록 해보았다.

 

시트로 변경하고 효율성이 확실하게 증가됨을 느꼈으나, 프린트해서 보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게임 SNS 프로젝트에서 일부 기능에 도입


 

여기까지는 필자의 시행착오이며 서론에 불과하다. 이제부터 요구사항 작성에 대해 실무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론은 SW공학이나 요구공학 책을 읽으세요~ 상세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욘나빠른피셜, "요구사항"

- 요구사항은 사용자 요구사항과 시스템 요구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요구사항은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부합하며 실제 사용자 입장의 시나리오를 주축으로 합니다. 시스템 요구사항은 개발 내용과 직접적 연관이 있고 기능들을 기술적으로 설명합니다. 개발자나 아키텍트가 작성하기를 권장합니다.

- 요구사항은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능 요구사항은 사용자의 행위를 기반으로 작성이 되어 일반적으로 요구사항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비 기능 요구사항은 품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ISO 25010 품질의 주 특성과 부 특성에서 기능성을 제외한 나머지를 포함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요구사항은 시스템 사양(성능)과 제약 사항을 포함합니다. 간단하게 지원 OS 버전이나 HW 사양(성능), 해상도 등 포함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범위를 벗어나거나 한정지 어야 될 내용을 기술합니다.

 

소프트웨어 요구 공학, Requirement Engineering

요구 공학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요구사항 부분이 파생된 학문으로 Wiki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키 백과 바로가기 요구사항은 사용자 요구사항과 시스템 요구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 개

odaily.tistory.com

 

본론, 요구사항 4단계

1. 요구 사항의 수집

보통 고객의 접점에 있는 인력이 고객의 의견을 듣고 정리해서 전달을 해 준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보고 도대체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가 어렵다. 명확한 게 없기 때문에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정의를 못하기 때문이다.

 

여러 방법 중, 고객 인터뷰를 통해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쉽다.

UX 리서치 공부를 하다 보면 인뎁스 인터뷰라는 항목을 접했을 것이다. 바로 이 스킬이 필요하다.

 - 중립적 위치에서 편견 없는 태도

 - 유도 질문 피하기

 - 캐어 묻기

 

수집된 항목을 가지고 분석을 통해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2. 요구 사항의 분석

이제부터가 진짜다.

우선 도메인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 여정 지도, 퍼소나... 번거롭다)

더보기

 

필자 생각,

간혹 UX를 공부하는 친구들은 과정을 남기기를 좋아하는 듯하다.

과정은 그냥 과정... 형식과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배운 방법론을 제대로 활용하는데 치중했으면 좋겠다.  

UX 리서치는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입장하는 과정일 뿐이다.

 

1+1 = 2 를 증명하는 과정을 남길 필요가 없는 것과 동일하다.

고객한테 결과물을 전달하고 필드의 피드백이 "2" 이면 우리는 잘한 것이고 과정의 경험을 체화하면 된다.

하지만 피드백이 "4" 라면 왜 "4"인지를 분석하고 실패 원인을 찾는 게 더 효율적일 것이다. 잘 남겨진 과정을 하나하나 뒤척거리며 여기서 프로세스를 잘 못 이행했구나 찾는 것보다는.... 

 

오답노트는 정해진 답이 있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방안이지... 답이 없는 기획에서는 적절치 않다는 필자 생각


 

2.1. 나 자신을 캐스팅한다.

내가 사용자고, 내가 관리자, 내가 운영자가 되는 것이다. (퍼소나 = 나)

 

그리고 마구마구 아이디어를 내고 적고, 낙서판을 만들어가며 키워드를 추출해낸다.

그리고 그 복잡한 낙서판에서 기능들을 하나씩 추출하기 시작한다.

 

보통 베이스는 CRUD 를 기반으로 기능들을 추출한다.

(Create, Read, Update, Delete) 

이는 데이터 드리븐 모델링과도 부합할 수 있을 것 같다.

사용자의 모든 행위는 데이터를 다루는 것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2.2. 다음 IA를 작성한다.

필자가 말하는 IA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길 바란다.

(▼) Information Architecture 에 대한 이해

더보기

문서의 시작, 틀을 갖추자 (Document layout)

 

기획 업무, 문서 작성 이렇게 해보자

모든 문서를 작성하기 전에 양식(형태, 레이아웃, 기준)을 갖추는 작업을 먼저 할 것이다. 화면 설계서도 예외는 아니다. 다양한 문서를 보면서 가끔 자신만 알아볼 수 있게 작업하는 경우가 종

odaily.tistory.com

 

 Information Architecture, IA는 모델을 정보 개념을 활용하여 복합 시스템으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활동 영역은 도서관 시스템, 경영 시스템 내용, 웹 개발, 상호 작용을 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개발, 프로그래밍, 테크니컬 라이팅, 건축 계획과 평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쓰인다.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의 분기 혹은 정보 기술 아키텍처에서 다소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주로 공유 환경의 구조 디자인, 웹사이트의 분류와 조직화 순서, 인트라넷과 온라인 커뮤니티, 디자인 요소를 가져오는 방법과 설계를 디지털 구조화하는 방법으로 정의된다.

 

2013년 정보처기기사를 공부하면서 I.A. 란 오프라인의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옮기는 작업이라 책에서 봤다. 또한 물리적/논리적 표현으로 구분지어 명시한다고 했었던 것 같다. 하여튼, 기획자들이 생각하는 IA와 다른 파트에서 바라보는 IA는 개념적으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필자는 IA란 용어를 잘 쓰지 않는다.


 

우선 Actor 에 대한 모델을 생성하고, Actor 의 행동에 의해 생성되는 모델을 생성한다.

 

페이스북이라 가정하면,

Actor는 일반 사용자, 법인(개인) 사업자, 운영자, 관리자 의 모델을 만들 수 있다.

Actor에 의해 생생되는 모델은 포스트, 댓글, 채팅, 영상 콘텐츠, 광고, 결제정보, 알림, 추천 정보 등....

 

이렇게 완성된 모델 껍데기를 나란히 정렬하고 필요한 디지털 데이터(이하"엔티티", Attributes or Entity)를 추가한다.

 

페이스북의

사용자는 가입일시, 인증일시, 이메일 주소, 이름, 생년월일, 관심설정, 사용 플랫폼, 팔로우, 팔로잉 등 개인과 관련된 정보항목을 추가한다.

포스트는 작성 일시, 공개 여부, 포스트 타입, 제목, 내용, 댓글, 댓글 수, 조회수, 공유수, 조회수, 좋아요 수, 작성자 정보, 포스트 각종 옵션 등... 포스트와 관련된 항목을 추가한다.

댓글은 작성 일시, 작성자, 작성 포스트, 좋아요 수, 대댓글 수 등..

 

작성된 모델과 엔티티들을 보면 종속관계가 1:1, 1:N, N:N 등 다양하게 얽히게 된다.

CRUD 의 Read 를 통해 종속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용도로 쓰인다.

 

(▼) 필자가 작성한 IA (더럽고, 보기 흉하고.... 창피하다)

더보기

 

필자는 모든 과정이 결과물을 산출해내기 위한 용도라... 나만 보기 쉽다.

1행은 모델 데이터이고

2행부터 각각 속성, 엔티티들을 작성했다.

 

모델들은 고유 색상을 가지고 있어 다른 모델의 엔티티로 들어가더라도 보기 쉽도록 해보았다.

 

DB 모델링을 하던 사람이라면 깔끔하게 정제된 ERD를 만들겠지만.... 난 개발을 하기 싫다.

따라서 Relationship 이 1:1, 1:N, N:N, 0:N....이런 표시가 안돼서 메모로 주요 내용들을 남겼다.

온라인 강의에 대한 IA

 

2.3. 다음 IA 기반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작성

 

이제 IA 를 기반으로 Actor 의 CRUD 와 기능을 작성한다.

(Who 누가, What 어떤 데이터를, How 어떻게 이용하는가)

 

페이스북으로 가정하고

사용자는 포스트를 등록한다. (제목, 내용, 첨부, 공개 범위....)

사용자는 포스트를 조회한다. (포스트 엔티티~~ 많네)

사용자는 포스트를 수정한다. (제목, 내용, 공개 범위, 첨부 추가..)

사용자는 포스트를 삭제한다. (삭제 취소, 삭제 완료, 숨김 처리...)

관리자는 포스트를 조회한다.

관리자는 포스트를 추천한다.

관리자는 포스트를 숨김 처리한다.

 

모든 데이터에 대한 Actor 들의 행위가 누락 없이 작성되어야 한다.

 

(▼) 필자가 작성한 시나리오 (더럽고, 보기 흉하고.... 창피하다 x 2)

더보기

 

IA와 같은 시트에 작성하여 빠르게 수정, 작성을 할 수 있도록 했다.

A열은 요구사항 수집 ID

B열은 (Who) Actor 모델

C열은 (What) 데이터 모델

D열은 (How) CRUD 행위

E열은 CRUD 행의의 상세

 

UML 툴을 잘 사용하다면 보기 좋게 나오겠지만.... 난 개발이 싫다.

Actor 들의 온라인 강의 시나리오

 

필자의 요구사항 분석은 여기까지이다.

최종적으로 1개의 스프레드시트에 2개의 산출물이 생성되었다.

 

여기까지 도달하기 위해 우리는 도메인에 대한 분석, 경쟁사 벤치마킹, UX 리서치, 서비스 전략, 차별화 포인트 등 수많은 고민이 되어야 한다. 이런 고민들이 생략되었으면 앞으로 작성할 요구사항 명세서는 알맹이는 없는 껍데기에 불과할 것이다.

(여기서는 요구사항만 다룰 거니깐....)

 

 

3. 요구 사항 명세서의 작성

요구사항 명세서는 흔히 말하는 SRS 로 생각하길 바란다.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SW를 개발한다고 하면, SRS 가 없이는 고객이 원하는 명확한 제품이 나오기 어렵다. 

 

단, SRS 는 인하우스에서 굳이 형식까지 갖출 필요는 없다.

유저 스토리 기반의 요구사항 명세로 작업이 더 수월할 수 있다.

 

(▼) 유저 스토리 기반의 요구사항

유저 스토리 기반의 요구사항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SRS 는 외주를 맡기거나 수주했을 때

개발을 진행을 위한 상호 프로젝트의 범위에 대한 명시를 명확히 하고 인수 조건(테스트)을 협의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냥 딱딱하지만, 있으면 매우 유용한 문서, 계륵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문서이다.

 

SRS는 IEEE 에서 정의한 템플릿이 존재한다.

 

표지와 인덱스 캡쳐

참고만 하자. 자괴감이 들 수 도 있다.

 

 

기획자도 작성할 수 있는 수준의 SRS 를 제안해 본다.

 

누구나 따라하기 쉬운 요구사항 작성 Tip, 템플릿

 SRS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요구사항 문서에 대한 템플릿은 IEEE 표준 문서가 있지만 실무에서 사용하기는 번거롭고 가독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회사별, 사람별로 다양한 요구사항 정의

odaily.tistory.com

 

유저 스토리로 요구사항 대체하기

>> [SW요구사항] 유저스토리 작성하기, Given When Then

 

 

4. 요구 사항의 변경 관리

확정되어 개발이 시작된 시점에도 요구 사항의 변경 요청은 빈번한 게 현실이다.

요구 사항을 잘못 작성한 것이 아니라 상황이 변하거나 고객의 변심일 가능성이 높다.

 

변경 및 추적은 SW 공학에서도 마지막 범위에서 심도 있게 다루는 분야이다.

 

그러니깐 패스~

 

한 번 작성되어 확정된 요구사항은 지우면 안 됩니다.

- 사선(삭제)을 긋고 이력을 작성하세요. (근거, 일시)

- 또는 버전을 올려서 버전으로 관리하세요.

 

추가되는 요구사항은 관련된 요구 사항의 마지막 항목에 추가하세요.

- 요구사항은 비슷한 테마끼리 묶어놓으면 확장성, 기능 중복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 그리고 이력을 작성하세요. (근거, 일시)

 

요구사항 관리 시스템이 없다면 요구사항 추적표를 일부러 만들지 마세요.

- 관리 안돼요.

- 요구사항을 엑셀이 아닌 TestLink 와 같은 툴을 이용하면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력을 검색하는 것만으로도 충분이 추적하고 찾아갈 수 있습니다.

변경/추가 시점의 근거와 일시만 남겨 놓으시면 됩니다.

 

 

 

마무리

작성된 요구 사항은 테스트 케이스로 세분화하여(또는 그대로) 사용될 수 있고, 

화면 설계서 작성 시, 공통 UI 모듈을 만드는 기반이 됩니다.

 

보통.... 1000 줄 이상 넘어가는듯 하다.

예시로 사용된 온라인 강의는 3000 줄 정도

이전 테스트 자동화 프로젝트도 1500 줄 정도

 

 

 

기획자도 개발을 알아야 한다. 기획자의 개발 용어 알아가기

기획하는데 개발을 왜 알아야 하죠?? Product Manager 는 제품만 잘 알면 문제없던데요?? Product Owner 는 방향만 잘 잡으면 잘 되던데요?? 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직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혹시 모르는

odaily.tistory.com

 

OPR(One Page Report), 보고서 작성 요령

OPR (One Page Report) : 한 장짜리 보고서 OPP (One Page Proposal) : 한 장짜리 제안서 보고를 받는 의사결정권자는 보고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하나의 보고서를 오랫동안 검토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

odaily.tistory.com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