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적금 가입 전 확인 사항, 꿀팁

728x90

예·적금 상품 어떤게 있나요?

예·적금은 예입·인출이 자유롭고 이자가 없거나 낮은 수준의 '요구불예금'과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하여 비교적 높은 이자를 받는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됩니다.

1. 마음대로 찾고 쓰는 '요구불예금'

요구불예금은 원할 때 언제든지 조건없이 입금 및 출금을 할 수 있어 자유로운 대신 이자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습니다. 대표적으로 보통예금과 당좌예금이 있습니다. 한편 은행에서는 다양한 입출금 통장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직업, 연령 등에 따라 필요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입출금 통장 상품을 찾아보세요.

2. 목돈 마련하고 굴리는 '저축성 예금'

저축성예금은 대표적으로 정기적금, 정기예금, MMDA 등이 있습니다.

'목돈 마련하기' 정기적금

매월 일정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고 만기일에 원리금을 지급받는 상품으로 푼돈을 모아 목돈을 마련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수단입니다

'목돈 굴리기' 정기예금

목돈을 일정기간 동안 예치하고 매월 또는 만기에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장기저축상품입니다.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

MMDA는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 예금으로 금액에 제한없이 통장을 개설할 수 있고 수시로 입·출금할 수 있으며 각종 이체와 결제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보호 대상이 됩니다. 

소비자가 은행에 맡긴 자금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얻은 이익을 이자로 지급하는 구조로 되어 실세금리를 적용하게 됩니다. 단, 예금금액에 따라 차등금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유사한 상품으로 MMF(Money Market Fund)가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상품 찾을 때 고려해보세요

① 결혼자금, 주택장만, 노후자금 마련, 예·적금 가입하기 전에 내가 원하는 재무목표를 먼저 구체적으로 세우세요.

② 나의 상황에 맞는 가입기간을 설정해보세요

③  어떤 방식으로 돈을 넣고 굴릴지 자신에게 적합한 예·적금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돈 마련을 위해 정기적으로 일정금액을 저축한다면 정기적금을, 여유자금이 있어 일정 기간 동안 목돈을 저축해두고 싶다면 정기예금 을 찾아보세요.

 

 


유용한 꿀팁 모아보기

1. 이자를 계산할 때, 단리 VS 복리?

① 단리 : 원금에 대해서만 일정한 시기에 약정한 이율을 적용합니다

② 복리 : 일정기간마다 이자를 원금에 합산하고 이것을 새로운 원금으로 계산합니다

③ 비교 : 동일한 이율일 경우 복리가 유리합니다.  

 

특히 저축액이 클수록, 저축기간이 길어질수록, 만기 후 실수령액이 크게 증가하므로 복리 상품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주거래은행에 추가 우대금리 혜택 문의 하세요

은행들은 예·적금 가입시 해당 고객의 예금, 외환, 신용·체크카드, 자동이체 등 거래실적에 따라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거래를 여러 은행으로 분산하기보다 한 은행으로 집중하여 '주거래은행'을 만들고, 예·적금을 가입할 때는 추가 우대금리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세요.

1. 주거래고객제도
은행에서 '주거래고객제도'를 이용하여 거래실적주1)에 따라 금리우대, 수수료 면제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다만, 특판 예·적금, 청약저축 등 일부 상품의 경우거래실적에 따른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가족 거래실적
은행들은 고객과 가족이 동의할 경우 거래실적을 합산하여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거래실적을 합산한 가족 모두에게 우대 혜택주2)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족관계 증명서와 신분증을 구비하여 주거래은행을 방문한 후 거래실적 합산을 요청하면 됩니다.

 

3. 비과세, 세금절약상품 찾아보세요

은행 및 저축은행 예·적금 가입 전에 고령자(65세이상) 등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요건에 해당 되는지를 확인해 보세요. 비과세 종합저축은 정기 예·적금 뿐만 아니라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저축예금 통장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만 65세 이상인 경우, 비과세 종합저축으로 최대 5천만원 한도(원금 기준) 내에서 세금을 내지 않고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대상 (조세특례제한법 제88조의2) >
1. 65세 이상인 거주자
2.「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3.「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제6조에 따라 등록한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가족
4.「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6조에 따라 등록한 상이자
5.「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수급자
6.「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른 고엽제후유의증환자
7.「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제4조 제2호에 따른 5·18민주화운동부상자

4. 자유적립식 적금 활용해 보세요

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자유적립식 적금 금리를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예금에 가입하려는 금액 중 일부금액을 자유적립식 적금에 분할하여 가입하는 경우 정기예금만 가입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기적금 금리 > 자유적립식 적금 금리 > 정기예금 금리 (동일한 기간)

<정기예금과 자유적립식 적금 동시 가입 시 이자 비교 (예시) >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 1.7%, 1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 1.9%인 경우(다만, 자유적립식은 매월 5백만원까지만 입금 가능)

정기예금만 가입시
=> 20,000,000 × 1.7% = 340,000 

정기예금(1천5백만원)과 자유적립식 적금(5백만원) 분할 가입시
=> (15,000,000×1.7%)+(5,000,000×1.9%)= 255,000 + 95,000 = 350,000

 

 

출처 : https://www.fss.or.kr/main/prc/main.jsp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