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용성 테스트 훔쳐보기 (1)

일상을 공유함니다 2022. 1. 1. 20:22
728x90

사용성 테스트는 가설에 대한 검증 방법 중 하나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다.

Pain Poin 를 찾아내어 개선안을 도출해내야 올바른 사용성 테스트를 했다고 볼 수 있다.

 

- Define : 사용성 테스트 목표 수립

- Scope : 사용자 및 제품(기능)에 대한 범위를 설정

- Needs : 검증 및 개선방향 수립

 


사용성 테스트 진행을 위해 아래와 같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1. 목표 설정

-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정의

2. 도메인 분석 (사용자 및 제품(기능)에 대한 범위를 설정)

- 제품 개발 목표, 제품 사용 환경, 사용자 특성 등 분석

3. 계획 (검증 및 개선방향 수립)

3.1. 접근 방식

- User Test : 시나리오 기반 검증

- Heuristic review : 전문가를 통한 검증

3.2. 테스트 수행 계획

- 시나리오 작성 방향

- 테스터 모집 계획

3.3. 결과 측정 지표 정의 (task 기반)

3.4. 산출물 정의 (시작>진행>완료)

4. 일정

4.1. 조직 구성 (관리, 검증, 개선, QA)

4.2. 일정 수립 (분석>검증>개선)

 


 

1. 목표 설정

사용성 테스트의 목적은 제품(서비스)이나 도메인의 특성에 따라 또는 만든 의도나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 가설 검증(제품 개발) : 의도한대로 실제 사용자에게 유용한지를 검증에 중점.

- 제품 강화(제품 성장) :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제품을 개선에 중점.

- 경쟁력 증진(제품 성숙) : 경쟁 제품과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 진단 및 해결에 중점.

- 리뉴얼(제품 쇠퇴) : 신제품 또는 제품의 리뉴얼을 위한 인사이트 도출에 중점.

 

사용성 테스트는 60분 이내에 진행될 수 있는 시나리오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의 사람인 경우 90분 이상 집중력을 발휘하가 어려워 그 이상 테스트를 진행되면 테스터가 대충 시나리오를 수행할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다음에 작성할 수행 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 가설 검증

효율/효과적인 사용성 검증

=> 제한된 리소스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사용성의 정량적인 평가를 진행

 

사용성 개선을 위한 Pain Point 수집

=> 개선 효과과 큰 Pain Point 중심의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

 

목표를 정의 했으면 목표 달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의 자세를 취해야 한다.

 

 

 

 

 

2. 도메인 분석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제품(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목표 달성을 위한 수행 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테스트 시간(60분)내에 우리는 테스터로부터 결과를 얻어내야 하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의 자세를 취해야 한다.

 

우선 제품에 대한 도메인을 명확히 정의하고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한다.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3가지 항목에 대하여 범위를 설정하고 제한할 수 있다.

 

- 사업 목표

- 사용 환경

- 사용자 특성

 

제품(서비스)의 이용 범위나 기능 단위 등, 사용 환경으로 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실제 테스터로 참가할 대상에 대한 연령, 직원, 

 

 

...... 이하 생략 (2)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