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 체크리스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극히 개인적인 기획자의 체크리스트 (6~8) 업무에 있어 익숙함이 가장 큰 리스크이자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본인 직무(업무)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아직 필자도 바쁘다는 업무를 핑계로 중구난방으로 작성했던 문서를 보고 반성을 해본다. 작성된 내용 일부는 사이트의 방문과 교육, 가이드 문서 기반으로 출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6. 화면 설계시 기준 해상도를 설정해라. 화면을 설계할 때 기준 크기와 반응형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 최소한 Min/Max 의 크기 기준으라도 정의해야 실제 개발된 산출물이 사용자 환경에 따라 원치 않는 모습으로 보여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 Windows OS는 괜찮지만, Mac OS의 해상도는 작게, 보통, 크게 등..변태 해상도가 많으니 유의해야 한다. - SPA(Single.. 더보기 지극히 개인적인 기획자의 체크리스트 (4~5) 업무에 있어 익숙함이 가장 큰 리스크이자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본인 직무(업무)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아직 필자도 바쁘다는 업무를 핑계로 중구난방으로 작성했던 문서를 보고 반성을 해본다. 작성된 내용 일부는 사이트의 방문과 교육, 가이드 문서 기반으로 출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4. Backoffice (Admin) 사이트 구성 시, CRUD 를 지켜라 Backoffice 와 같이 관리자 웹 사이트나 서비스의 경우 Database를 기준으로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비지니스 로직보다는 단순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이 메인이다. 기본 기능은 CRUD C (create) : 신규 생성 (new) R (read) : 조회 (search) U (update) .. 더보기 지극히 개인적인 기획자의 체크리스트 (1~3) 업무에 있어 익숙함이 가장 큰 리스크이자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본인 직무(업무)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아직 필자도 바쁘다는 업무를 핑계로 중구난방으로 작성했던 문서를 보고 반성을 해본다. 작성된 내용 일부는 사이트의 방문과 교육, 가이드 문서 기반으로 출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1. 한 페이지(Screen)에서는 하나의 기능에만 충실해라 특히, 모바일을 중심 서비스가 증가하는 만큼 모바일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작은 화면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면, - 사용자가 사용하기 힘들뿐더러 컨트롤(사용)도 힘들기 마련이다. - 코치형 가이드가 마구마구 추가되어 복잡하게 될 수도 있다. - 복합한 UI이나 기능은 사이드 오류를 양산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는 .. 더보기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 기획이란? 본 글은 필자의 경험과 교육, 세미나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공유하는 내용입니다. 기획은 답이 없다. 단지, 지금 시점에서 더 옳다고 판단되는 것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SW 회사의 기획에 대한 정의는 Biz 파트나 도메인에 따라 정의 및 업무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사업 기획, 제품 기획, 서비스 기획, 상품 기획 등 다양한 부문(어두 또는 단어)에 기획이라는 단어를 붙인다. 기획자도 개발을 알아야 한다. 기획자의 개발 용어 알아가기 기획하는데 개발을 왜 알아야 하죠?? Product Manager 는 제품만 잘 알면 문제없던데요?? Product Owner 는 방향만 잘 잡으면 잘 되던데요?? 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직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혹시 모르는 더 나은 기획 개발파트에서 기획이란? 필자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