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분석 썸네일형 리스트형 요구 공학 (Requirement Engineering) 요구 공학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요구사항 부분이 파생된 학문으로 Wiki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키 백과 바로가기 요구사항은 사용자 요구사항과 시스템 요구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 개발 직군인 기획자의 경우 사용자 요구사항을 담당하고 개발직군은 시스템 요구사항을 담당해야 한다. 하지만 요구사항 분석가나 아키텍트나 그에 준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자신의 업무가 아니라는 식으로 작성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비 개발직군은 아래 링크만 확인하고 요구 사항_수집?분석?정의?명세? 우선 펼쳐보자 본 글은 필자의 경험과 교육, 세미나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공유하는 내용입니다. 기획은 답이 없다. 단지, 지금 시점에서 더 옳다고 판단되는 것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6987.tistory.com 개발직군은 .. 더보기 요구 사항_수집?분석?정의?명세? 우선 펼쳐보자 소프트웨어 공학의 입구에 서서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이 요구사항이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한다. "고객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실제 모르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 있는 것을 표현을 못한다는 말이다. 이것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구사항 정의이다. 웹 에이전시나 SI 프로젝트를 경험하신 분들은 친근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하우스나 자체 솔루션을 오래부터 가져온 회사 직원은 필요성을 못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요구사항의 중요성은 구글에서 검색하면 나무에 그네를 만드는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서론을 시작으로, 요구사항 수집 > 분석 > 정의 > 관리 4단계를 확인한다. (원문 보기) [SW Requirements] 요구사항 수집, 분석, 정의 기본편 소프트웨어 공학의 입구에 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