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화면설계서

기획도 모듈화다! UX 전략 수립 UX 전략 기반의 모듈화를 실천해라. 화면설계서 작성 단계에 도달했다는 것은 이미 UX전략을 세웠을 것이다. 더보기 "욘나빠른피셜" UX란? 보통 UX = UI + Interaction 이라는 공식에 공감한다. 사용자에게, 우리가 제공하는 가치에 대하여 UI로 낚시를 하여 서비스 들어오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우리가 자신을 목적 달성을 위해 일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사용자에게, 우리가 제공하는 가치가 사용자에게 만족이라는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화면설계서는 말 그대로 화면(UI)을 포함하고 있다. 규모가 큰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우는 여러 명이 같이 작업할 수도 있다. 이미 UX 전략 또는 아이데이션에서 대략적인 화면이나 UI컴포넌트가 정의되었을 것이다. 어디선가 주워들은 내용, 어떤 UX에이전시에서는 U.. 더보기
문서의 시작, 틀을 갖추자 (Document layout) 문서의 틀을 먼저 갖추자. 화면설계서 기반으로 기획서를 작성, 욘나빠른 Tip 모든 문서를 작성하기 전에 형식을 갖추는 작업을 먼저 할 것이다. 화면 설계서 문서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후배들 작업하는 것을 보면, 자신만 알아볼 수 있게 작업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주어진 템플릿을 그대로 이용하는 케이스 우선 내용부터 채우는 케이스 명확한 기준을 세우지 않고 작업하는 경우, 중구난방으로 문서 작성이 시작되어 헤매기 십상이다. 또한 완성된 결과물은 자신을 위한 문서가 될 뿐, 리뷰자들이 보기 어려워진다. 모든 문서는 문서를 보는 사람에 맞게 작성해야 되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그래서, 틀을 갖추는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첫 번째, 표지에 "제목"과 "부 제목", "작성자"를 기입해라. 내가 다니고 있.. 더보기
기획자가 알아야할 잡학다식 (기획자도 개발팀원이다.) 기획하는데 개발을 왜 알아야 하죠?? 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직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혹시 모르는 마음에 기획자도 알아두면 좋은 지식에 대해 다루어 본다. 개발은 SW가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을 통칭하는 용어로, 기획자는 개발을 알아야 한다. 단, 코딩을 알 필요는 없다. 이런 것들이 기획자가 범하는 가장 많은 오류이다. 이런 것들 => 용어의 잘 못된 이해 기획자의 개발 용어 알아가기 SW개발 회사에서 개발은 하나의 SW 제품이 나오기까지의 시작과 운영까지의 모든 단계를 일컫는다.즉, 요구사항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영 의 모든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다. 나 때는 말이야, 기획? 1. 개발 (Software Development) SW개발 회사에서 개발은 하나의 SW 제품이 나오기까지의 시작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