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카피라이트

소프트웨어의 글로벌화 준비하기 (언어 번역) 글로벌 제품을 기획하면서 작성된 언어리소스를 다시 한 번 검토해야 한다. 현지화를 위해 간단, 명확한 단어를 썼음에도 실제 번역 진행간 여러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번역 친화적 컨텐츠 만들기 번역 담당자에게 문맥(Context) 제공 트랜스 크리에이션(Transcreation) 실제 사용자와 테스트 한글로 작성한 언어리소스는 먼저 영어로 번역을 하여 의미 전달이 명확한지 확인을 하고, 한국어와 영어 2개의 언어 리소스와 컨텐츠를 현지어 번역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번역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번역 친화적 컨텐츠 소프트웨어의 글로벌화 준비하기 (언어리소스 준비) 편 확인하기 이전 글에서 다룬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본다. 우선 언어 리소스(카피)를 만들 때 영어로 병행 작성하면서 번역성을 고려하는 것이 좋.. 더보기
소프트웨어의 글로벌화 준비하기 (언어 준비) 글로벌 서비스 준비에서 번역은 글자에 대한 번역이 아닌 문맥에 대한 번역을 고려해야 한다. 동일한 의미의 단어라도 문맥에서 다른 의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언어 리소스를 작성해야 한다. 명확하고 간단한 언어로 모호함을 줄인다. 번역회사는 전문가에게 번역 검수를 받는다. 현지화, 국제화된 컨텐츠를 제작한다. 1. 목적에 맞게 짧게 작성한다. 왼쪽, 간결한 목적만 전달하면 번역이 수월해진다. 오른쪽, 부연설명이 추가되어 번역시 텍스트가 넘어가거나 내용에 의문을 남길 수 있다. 2. 한 문장은 하나의 내용(목적, 생각)만 다룬다. 문장이 길어질 수록 번역된 글은 의도한 내용과 다르게 전달될 확률이 높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반드시 하나의 문장으로 다뤄야 한다. 3. 명확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더보기